나는 지금 Product Owner가 되는 중..



나는 비 개발자이고 FE 개발자로 IT업계에 입문했다. 어찌 보면 순탄했을지도 모를 대학교 흔히 말하는 국밥 전공을 버리고 FE 개발자가 된 이유는 “내 아이디어를 현실에 구현하고 싶다”란 막연한 생각 때문이었던 것 같다.

처음엔 기획 / 마케팅 공모전을 하며 내가 생각하는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방안을 찾고 사람들에게 발표했지만, 실제로 그것이 구현되는 것은 볼 수 없었다. 그래서 내가 직접 내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앱 개발에 손을 댔다.

내 앱을 만들고 크고 작은 성취감을 얻다 보니 개인 개발자는 작은 세상임을 느꼈고, 더 큰 무언가를 만들고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막상 네이버라는 기업환경에 들어와 보니, 개발자란 직업은 조금 더 기술적인 부분이 중요했고 그 부분에 흥미를 가져야 좀 더 즐겁게 일할 수 있었다. 그게 안 맞았다기보다, 내가 더 하고 싶었던 일은 기술집약적인 무언가가 아니라 번뜩이는 새로운 프로덕트를 만드는 쪽에 더 가까웠던 것 같다.


하고 싶은 일만 하며 사는 사람은 없다고 한다. 분명히 이런 생각을 가진 채로 시간이 지났다면 언젠간 내가 하고 싶었던 것을 잃어버리고 남들처럼 평범하게 하던 것을 하는 회사 생활을 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다행히도 내 주변엔 늘 내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물어봐 주는 동료들이 있었고, 그때마다 좋은 기회를 받았다. 그래서 내가 하고 싶어 했던 그 일을 잊지 않고 도전했다.

어찌 보면 이것이 내가 개발자에서 Product Owner로 변화하겠다는 마음을 먹은 계기 같다.

Product Owner가 무엇일까?

아마도 대부분의 회사에는 Product Owner라는 직군이 없거나 굳이 분류하지 않은 회사가 많을 것이다. 우리 회사에도 Product Owner라는 직군은 없다. 굳이 국내 회사에서 찾아보자면 팀의 리더급이 맡은 업무의 “일부”를 떼어내면 Product Owner가 아닐까 싶다.

흔히 Product Owner의 주요 업무로 분류하는 업무는 프로덕트의 방향성 설정이다. 이런 업무를 우리 회사에선 누가 하고 있나?를 생각하면 왜 굳이 Product Owner라는 직군이 없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이유에서 전문성을 갖고 프로덕트의 방향성을 끊임없이 제시하고 같은 팀의 디자인, 개발, 운영, Product Manager, 상위 리더들과 동등한 조건에서 의견을 제시할 Product Owner라는 전문가가 필요하기도 한 것 같다.

무얼 해야 Product Owner가 되나?

내가 가장 힘든 점은 어떻게 해야 내가 Product Owner가 되는지 잘 모른다는 것이다. 회사에 개발자로 입사했기 때문에 처음엔 이런 고민을 할 필요가 없었다, 누군가 시키는 일을 하다 보면 경력 있는 개발자가 되어있을 테니까, 하지만 직군을 변경하려다 보니 이런 고민을 하게 되었다. 위에서 말한 업무를 잘하게 되면 내가 Product Owner 인가? 어떤 일을 잘해야 하나?라는 고민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그래서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나는 지금 앞으로 내가 Ownership을 가질만한 프로덕트를 만들고 있다. 주로 하는 일은 경쟁 제품을 벤치마크하고, 새로 만드는 프로덕트의 스펙을 설계하는 일이다. 이 과정에서 나는 팀원들과 방향성을 고민하고 이를 구현해 줄 개발자들과 세세한 스펙들을 논의한다.

프로덕트를 만들며 느끼지만 OwnerShip 이란 누군가 나에게 쥐여주거나 부여하거나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직접 부딪히며 “이게 내 프로덕트”라는 마음이 드는 것 같다. 한마디로 나는, 내 Ownership을 더 크게 발휘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술과 Insight, 일 들을 배우고 있는 단계라고 생각한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Product Owner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정확한 정의는 여전히 모르겠다. 다만 확실한 것은 누구보다 내가 만든 프로덕트를 잘 알고, 그 프로덕트가 속해있는 카테고리의 흐름을 잘 꿰고, 앞으로 우리 프로덕트는 어떤 로드맵으로 발전시킬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느리고 더뎌도 목표에 접근해야만 한다. 그게 팀을 위한 길이고 프로덕트를 위한 길이고 나를 위한 길이기도 하다.

Outro

스마트 스튜디오 블로그에 기고할 글을 쓰다 보니, 지금의 내가 누군가에게 무언가 큰 정보를 줄 단계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글을 쓰고 지우고를 반복해 봐도 멋들어진 정보보다 지금까지의 경험의 일부를 공유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마도 이렇게 성장하는 과정을 기록하다 보면 나와 비슷한 길을 걷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재복 | HomeBuilder
이재복 | HomeBuilder

Product Owner가 되고싶은 공상가